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제겐 배우는 시간이 가장 달콤한 휴식시간입니다”
등록일
2009-09-28 
조회
532 

  -  끝없는 공부와 노력으로 방직공장 보조기사에서 중견종합전기업체 CEO로 변신한 (주)도암엔지니어링 오관준(48) 대표

  -  現, (주)도암엔지니어링 대표(1998)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자격증 취득(1997)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전동기 기동 제어장치’등 특허 1건

  -  ‘패드변압기 부하측회로 디지털 제어장치’ 실용신안 1건

  -  제주지역 최초로 에너지절약사업(ESCO) 및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취득

 노동부(장관 이영희)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유재섭)은 9월  "이 달의 기능한국인" 으로 (주)도암엔지니어링 오관준(48세·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대표를 선정했다.

 국가경제발전의 숨은 주역을 선정하는  "이 달의 기능한국인" 서른 세 번째 수상자 오관준 대표는 1980년, 방직공장의 보조전기기사로 시작하여 전기분야에서 30여 년간 한 우물을 파며 자신의 기업을 제주도 최고의 전기종합업체로 키워낸 장본인이다.

 제주도 한 가난한 농가의 4남4녀 중 셋째로 태어난 오 대표는 초등학교 시절, 호롱불이 전기로 바뀌는 것을 보며 ‘대한민국 최고의 전기분야 전문가’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중학교 졸업 후 한림공업고등학교에 입학한 그는 고3때 전기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했고 야간대학 시절에는 방직공장의 보조 전기기사로, 대학 졸업 후 전기공사 전문업체를 거쳐 1985년, 한국전기안전공사에 공채로 입사해 13년간 근무했다.

 그러나, 늘 또 다른 도전을 꿈꿨던 그는 주위의 만류를 뿌리치고 안정된 직장을 그만두고 1998. 10월 자본금 5천만원으로 전기공사 전문업체 (주)도암엔지니어링을 창업했다.

 그러나 창업한지 6개월 만에 돈을 전부 날렸다. 수금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3,4년간은 일해주고도 돈을 못 받는 일이 허다했고, 직원들 월급 줄 돈이 없어 은행을 수없이 들락거렸다.

 그 때부터 그는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 구상에 매달렸다. 고민 끝에 건축과 토목을 연계하여 설계와 감리를 추가하고, 조경기계까지 도맡아하는 종합전기업체로 탈바꿈시켰다.

 그 결과, 대형 건축도로공사, 단지개발 발전소 건설사업, 풍력발전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확장, 직원 122명에 연간 매출액 83억을 달성하는 내실 있는 중소기업으로 발전시켰다.

  또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및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전문기업을 취득했고 오랜 공부와 연구 끝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전동기 기동 제어장치" (제10685461호) 특허와  "패드 변압기 부하측회로 디지털 제어방식" (제0375175호) 실용신안을 획득하기도 했다.

 오 대표는 각 기관에서 개최하는 학술세미나와 연구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단지에 연구소를 설립하기 위해 1,500평의 부지를 매입하는 등 미래에 대한 투자도 아끼지 않는다. 머지않아 카이스트대학과 공동으로 제주도에 연구중심 기업을 만들 계획이며 회사를 에너지 절약 전문기업으로 성장시켜 대기업과 당당하게 경쟁하고픈 욕심도 있다.

 ‘배우는 시간이 달콤한 휴식시간’이라고 말할 정도로 배움에 대한 열망이 가득한 그는, 제주도 탐라대학교 토목공학과 야간 학부를 졸업했고 여러 대학에서 최고경영자 과정을 세 번이나 이수했다. 최근엔 일주일에 한번씩 제주도와 서울을 오가며 카이스트 경영대학원에서 늦깎이 공부를 하고 있다.

 사업을 하며 가장 힘든 일이 ‘좋은 인력을 구하는 것’이라는 그는 "훌륭한 기능인을 배출해 내려면 교육시스템부터 개선돼야한다" 면서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기술만 배우다보니 사회에서 부딪히며 터득해야 하는 것들이 너무 많아 힘들었다." 고 고백하며  "법과 경영, 경제, 사회에 대한 이해 없이는 기능인으로 성공하기 어려우므로 기술 교육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친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고 강조한다.

 2006년에 처음 도입된  "이 달의 기능한국인" 은 10년 이상 산업체 근무경력이 있는 전문 기능인 중 사회적으로 성공한 기능인을 매월 1명씩 선정 포상하는 제도다.

  "이 달의 기능한국인" 대상자 추천은 연중 수시로 받고 있으며 한국산업인력공단 6개 지역본부 및 18개 지사와 노동부 지방관서에 일정한 구비서류를 갖춰 제출하면 된다.

 대상자 추천 방법 및 기타사항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www.hrdkorea.or.kr) 또는 전문기능인력 pool시스템 홈페이지(http//pool.hrdkorea.or.kr)에서 자세히 안내 받을 수 있다.


 

문  의:  노동부 자격정책과  박영택 (02-6902-8220)

         산업인력공단 기능장려팀  장윤석 과장 (02-3271-9305)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