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뉴스·소식
언론보도설명
- 제목
- (반박) 매일경제 "대선 앞 정년연장 불붙이는 정부" 기사 관련
- 등록일
- 2021-04-15
- 조회
- 2,646
'21.4.14.(수) 매일경제「대선 앞 정년연장 불붙이는 정부」제하 기사 관련
<보도내용>
‘21.4.14.(수) 매일경제(인터넷) 기사에서,
“정부는 제3기 범부처인구정책 TF에서 정년연장에 관한 사회적 논의를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22년부터 시작한다는 방침을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
<관계부처 입장>
제3기 인구정책 TF에서 정년연장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한다는 방침을 결정하고 발표하는 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의 정년연장 방안 본격 논의,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연계 방안도 검토된 바 없습니다.
현재 제3기 인구정책 TF에서는 제2기 TF*에서 발표한 바와 같이 고령자 고용 활성화와 관련된 다양한 제도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 (2기 TF 발표 내용) 고령자 고용 활성화와 관련된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22년)를 기초로 ’22년부터 계속고용제도 등 다양한 제도 설계 노력
문 의: 고령사회인력정책과 김태은 (044-202-7418)
<보도내용>
‘21.4.14.(수) 매일경제(인터넷) 기사에서,
“정부는 제3기 범부처인구정책 TF에서 정년연장에 관한 사회적 논의를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22년부터 시작한다는 방침을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
<관계부처 입장>
제3기 인구정책 TF에서 정년연장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한다는 방침을 결정하고 발표하는 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의 정년연장 방안 본격 논의,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연계 방안도 검토된 바 없습니다.
현재 제3기 인구정책 TF에서는 제2기 TF*에서 발표한 바와 같이 고령자 고용 활성화와 관련된 다양한 제도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 (2기 TF 발표 내용) 고령자 고용 활성화와 관련된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22년)를 기초로 ’22년부터 계속고용제도 등 다양한 제도 설계 노력
문 의: 고령사회인력정책과 김태은 (044-202-7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