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고용노동부, 일자리 창출효과 상위 TOP 6 정책 발표
등록일
2015-04-13 
조회
3,012 

고용노동부는 주요 국정과제인 고용영향평가*의 ‘14년 결과를 공개하고 고용창출 효과가 우수한 정책 Top 6를 발표하였다.

 상위 TOP 6 정책은 일자리 창출 예측치가 크고 핵심 국정운영 전략인 창조경제 및 규제개선 정책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분야별 평가기준’ 및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다.

< 세부 내용 >
▶ 창조경제 분야
 ① 공간정보 융․복합 사업
     지형정보를 구축하여 GPS․네비게이션 등 타 방송통신산업의 고용을 높이는 확산(Spillover) 효과가 크고 산업성장 초기에 예산투입을 집중하여 기반정보를 신속히 마련하면 고용창출 효과가 커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만, 현재 신생 기업들이 영세하여 전문기술인력 양성 및 확보가 어려우므로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훈련과정 확대가 필요하다.
 
② 환경기술 R&D 투자사업
    정부 지원을 받는 소규모 기업은 상용직 연구인력을 중심으로 고용이 20% 가량 늘어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혜기업 대부분은 정부지원이 끝난 후 R&D인력을 감축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나 지원업체 선정 시 장기고용 계획을 평가하고 이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③ 중소기업 상용화 기술지원 사업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구매를 조건부로 기술(제품)개발을 실시하여, 기술 상용화율과 일자리 창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대기업이 구매약속을 이행하지 않거나 개발한 기술을 우회적으로 가져가는 등의 여파로 성과를 많이 내지 못한 사례가 일부 있어 이에 대한 사회적 감시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규제개선 분야
 ① 장시간 근로개선 정책
     주당 근로시간을 52시간으로 총량 규제함으로써, 시행 첫 해 약 18,500명, 누적 약 14~15만 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단, 근로시간 특례업종 규제*를 함께 개선하지 않을 경우 일자리 창출 효과는 26% 정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② 자동차 튜닝 활성화 정책
    튜닝규제 완화 수준에 따라 2020년까지 13,323명~23,786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다만, 현재 산업 초기 단계라 기업과 대학 모두 인력양성 시스템을 갖추지 못해 튜닝 특성화고(또는 전문대학)나 중소기업 연합 사내대학 설립, 자격증제 도입 등의 검토가 필요하다.

 ③ 도시 첨단산업단지 필지면적 규제 완화 정책
     기업들이 산업단지에 소규모 필지로 입주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여(필지 최소면적 규제: 1,650㎡→900㎡) 기존에 입주가 어려웠던 첨단강소기업들이 모이고, 상용직․청년 중심으로 4,855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한편 ‘15년 평가과제는 ▵올해 최초로 대국민 공모로 접수한 제안과제 및 전문가․민간단체 추천과제 ▵고용률 70% 로드맵 주요 정책 ▵중앙부처·지자체 요청과제 등 63개 후보과제 중에서 최종 21개를 선정하였다.

해당 과제에 대한 평가는 4월부터 8월까지 약 5개월간 실시되며, 결과는 고용영향평가 온라인DB를 구축하여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고용영향평가위원회에서는 정책별 고용효과를 등급제로 평가하고, 평가결과의 정책반영 현황을 공개하는 등 평가관리를 강화하고 결과도 투명하게 개방할 계획이다.

 이재흥 고용정책실장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화두가 일자리인 만큼 경제․산업․복지․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들이 일자리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고용영향평가에서 나온 결과들을 정책에 최대한 반영하고, 고용영향평가 제도의 실효성도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문  의:  고용정책총괄과 구현경 (044-202-7231)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