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설명) 매일경제(10.21) “출연硏 블라인드채용 인재선발만 방해”기사 관련
등록일
2019-10-21 
조회
985 
2019.10.21.(월), 매일경제, “출연硏 블라인드채용 인재선발만 방해”기사 관련 설명

주요 기사내용
“블라인드 채용이 시행된 이래 지원자를 평가할 중요정보는 가린 채 서류 검토와 면접이 치러져 인재의 전문성을 판별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한 출연연 연구원을 선발할 때는 지원자들이 어디에서 어떤 연구를 어떻게 해왔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가 필수”
“전문 연구원 인력에 한해 블라인드 채용 규정을 대폭 완화해야만 객관적 인재 선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설명내용
정부는 공공기관이 채용과정에서 직무수행에 필요하다면 학력(학위) 및 연구실적 등을 요구할 수 있도록 블라인드채용 가이드라인을 탄력적*으로 적용하고 있음

* 2018 편견없는 채용 블라인드채용 가이드북(50p) “직무수행에 필요하다면 학력사항, 외국어 등의 능력을 지원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요구하는 사유를 채용공고문 또는 직무기술서에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학벌 중시의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사회적 요구를 바탕으로 응시자의 ‘출신학교’ 및 ‘지도교수’ 등 직접적인 차별 요인이 될 수 있는 항목은 채용과정에서 요구하지 않도록 지도하고 있음
* 블라인드 채용 정착을 위한 선결과제로 응답자의 78%가 ‘학벌이 아닌 능력을 중시하는 인식 개선’ 응답(2018, NCS 및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 출신대학에 따른 차별의 심각성에 대해 65.3%가 ‘심각할 정도’ 라고 응답(2016, 한국교육개발원)

개별 공공기관 별로 상황이 다를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공공기관 인사담당자 및 신입사원 모두 블라인드 채용 방식이 ‘절차’ 및 ‘결과’에 있어서 공정하다고 평가하고 있음
채용 절차적 공정성에 대해, 인사담당자 4.3점, 신입사원 4.2점,
채용 결과의 공정성에 대해, 인사담당자 4.4점, 신입사원 4.3점으로 평가된 바 있음(각 5점 척도, 5점에 가까울수록 긍정적 답변)
* 편견없는 채용.블라인드 채용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18년, 한양대)

아울러, 일부 공공기관 또는 특정 채용직군에만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을 완화하여 적용할 것인 가에 대하여는, 해당 공공기관의 의견 뿐 아니라 취업준비생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정부는 지속적으로 공공기관의 블라인드채용 운영과 관련한 현장의견을 수렴하여 블라인드 채용이 현장에 효과적으로 정착되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임



문  의:  공정채용기반과  이동현 (044-202-7453)
첨부
  • hwp 첨부파일 10.21 출연연 블라인드채용 인재선발만 방해(매일경제 설명 공정채용기반과).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