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18.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및 '17.10월 지역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등록일
2018-04-30 
조회
2,708 
◈  '18.2월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4,155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3.6%(+792천원)증가 
    -  월평균 근로시간은 149.7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6.2시간(-9.8%)감소
◈  '18.3월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7,73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37천명(+1.4%) 증가
◈  '17.10월 지역별 사업체 종사자수 증가율은 세종시,제주도 순으로 높음


근로실태 부문
(임금총액) ’18.2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4,155천원으로 전년동월(3,363천원)대비 23.6%(+792천원)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4,378천원으로 전년동월(3,517천원)대비 24.5%(+861천원) 증가, 임시.일용직은 1,501천원으로 전년동월(1,486천원)대비 1.0%(+14천원) 증가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600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9.2%(+579천원)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6,525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5.4%(+1,707천원) 증가
(산업별)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7,965천원),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6,149천원) 순이며,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192천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2,314천원) 순

(근로시간) ’18.2월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49.7시간으로 전년동월(165.9시간)대비 16.2시간(-9.8%) 감소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53.8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6.6시간(-9.7%) 감소하였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00.7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0.1시간(-9.1%) 감소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49.8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6.4시간(-9.9%) 감소, 상용 300인 이상은 149.5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5.0시간(-9.1%) 감소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163.9시간),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60.9시간), 제조업(159.7시간) 순이며, 근로시간이 짧은 산업은 건설업(129.1시간), 교육서비스업(133.1시간),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143.4시간) 순

고용부문 (잠정결과)
(종사자) ’18.3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종사자 수는 17,73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37천명(+1.4%) 증가
(규모별)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4,98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93천명(+1.3%) 증가, 300인 이상은 2,75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4천명(+1.6%) 증가
(산업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2천명, +6.1%), 도매 및 소매업(+50천명, +2.3%),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29천명, +3.0%) 등에서 주로 증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17.9월(+83천명) 이후 8만명대 이상의 증가폭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은 ’17.6월(-1천명) 저점 이후 증가세 지속
전 산업 중 종사자 수가 약 21%를 차지하는 제조업의 경우, ’18년 들어 소폭 증가세 지속

(노동이동) ’18.3월 중 노동이동률은 12.5%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노동이동률이 큰 산업은 건설업(35.0%), 교육서비스업(30.4%) 순이고, 작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2.5%), 금융 및 보험업(4.7%) 순임
전년동월대비 노동이동률이 가장 많이 상승한 산업은 건설업(+3.2%p), 교육서비스업(+2.6%p)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2.5%p),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1.4%p) 순으로 노동이동률이 하락

(입.이직자) ’18.3월 중 입직자 수는 1,130천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7천명(+0.6%) 증가, 이직자수는 93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5천명(+6.2%) 증가
 ’18.3월 입직률은 6.8%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였고, 이직률은 5.7%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 수는 97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천명(+0.5%) 증가, 이직자 수는 85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4천명(+6.8%) 증가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 수는 15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천명(+1.6%) 증가, 이직자 수는 8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천명(+0.6%) 증가
(산업별) 입직자가 많은 산업은 건설업(244천명), 교육서비스업(237천명) 순이며, 이직자가 많은 산업은 건설업(197천명), 교육서비스업(147천명) 순

지역별 고용부문(부가조사, 잠정결과)
(종사자수) ’17.10월말 기준 종사자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4.7%), 제주(3.1%)로 나타났으며, 조선업 불황 등의 영향으로 울산, 경남이 각각 0.9%, 0.4%씩 감소
종사자수 증가는 경기(+74천명), 서울(+25천명), 부산(+14천명) 순으로 많음

(노동이동) ’17.10월 기준 노동이동률은 대전(15.3%), 광주(13.9%), 세종(11.9%) 순으로 높게 나타남
전국의 노동이동률이 전년동월대비 0.1%p 소폭 상승한 가운데 노동이동률이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대전(+8.3%p), 세종(+5.0%p)이며, 경기(-1.6%p), 강원(-0.9%p) 등은 하락


문  의:  노동시장조사과 김은주 (044-202-7250)
 
첨부
  • hwp 첨부파일 4.27 2018년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및 2017년 10월 지역별사업체노동력조사(노동시장조사과)8.hwp 다운로드 바로보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