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뉴스·소식
보도자료
- 제목
-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구매 지속 증가
- 등록일
- 2018-04-26
- 조회
- 2,424
- ‘16년 구매실적 7,401억원 대비 ’17년 2,027억원(27.4%) 증가
지난 해 국가기관, 자치단체, 공기업 등 공공기관에서 사회적기업 제품을 구매한 총 금액은 9,428억원으로 ‘16년 구매액 7,401억원 대비 2,027억원(27.4%)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사회적기업의 판로확대를 위해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라 832개 공공기관으로부터 사회적기업 제품의 전년도 구매 실적 및 당해 년도 구매 계획을 제출받아 이를 공고한다.
전체 공공기관 중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액이 많은 기관은 경기 성남시(506억원), 한국도로공사(424억원), 한국토지주택공사(369억원) 순이며, 총 구매액 대비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비율이 높은 기관은 경기 성남시(64.61%), 에너지경제연구원(27.80%), 광주광역시 서구(26.95%), 경기도 화성시(24.45%)순이고,
‘16년 대비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비율이 많이 증가한 기관은 에너지경제연구원(27.78%p), 경기평택항만공사(21.50%p), 부산광역시 북구(14.84%p), 경기도 시흥시(12.72%p), ?충청남도 서천군(11.18%p) 순이다.
주요 구매품목은 기존의 청소/방역, 사무용품, 산업용품 외 공정여행, 전통문화체험, 작품 전시, 공연, 홍보 등으로 다양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년도에 공공기관들은 11,699억원 사회적기업 제품을 구매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7년 9,428억원 보다 2,271억원(24.1%) 늘어난 규모이다.
고용노동부는 각 기관에서 제출한 전년도 구매실적과 금년도 구매계획을 분석하여 구매 개선이 요구되는 기관에는 담당자 교육, 컨설팅 등 기관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사회적기업 구매를 촉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경선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기업의 지속 성장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면서 “올해부터는 공공기관의 우선구매가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전국 16개 권역에 공공기관 상담기관을 운영하여 공공기관의 구매 수요발굴 등 지역 맞춤형 공공구매를 지원하고 있으며,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제품의 경쟁력 강화 및 다양한 홍보활동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 의: 사회적기업과 동재형 (044-202-7423)
지난 해 국가기관, 자치단체, 공기업 등 공공기관에서 사회적기업 제품을 구매한 총 금액은 9,428억원으로 ‘16년 구매액 7,401억원 대비 2,027억원(27.4%)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사회적기업의 판로확대를 위해 사회적기업육성법에 따라 832개 공공기관으로부터 사회적기업 제품의 전년도 구매 실적 및 당해 년도 구매 계획을 제출받아 이를 공고한다.
전체 공공기관 중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액이 많은 기관은 경기 성남시(506억원), 한국도로공사(424억원), 한국토지주택공사(369억원) 순이며, 총 구매액 대비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비율이 높은 기관은 경기 성남시(64.61%), 에너지경제연구원(27.80%), 광주광역시 서구(26.95%), 경기도 화성시(24.45%)순이고,
‘16년 대비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비율이 많이 증가한 기관은 에너지경제연구원(27.78%p), 경기평택항만공사(21.50%p), 부산광역시 북구(14.84%p), 경기도 시흥시(12.72%p), ?충청남도 서천군(11.18%p) 순이다.
주요 구매품목은 기존의 청소/방역, 사무용품, 산업용품 외 공정여행, 전통문화체험, 작품 전시, 공연, 홍보 등으로 다양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년도에 공공기관들은 11,699억원 사회적기업 제품을 구매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7년 9,428억원 보다 2,271억원(24.1%) 늘어난 규모이다.
고용노동부는 각 기관에서 제출한 전년도 구매실적과 금년도 구매계획을 분석하여 구매 개선이 요구되는 기관에는 담당자 교육, 컨설팅 등 기관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사회적기업 구매를 촉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경선 고령사회인력정책관은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기업의 지속 성장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면서 “올해부터는 공공기관의 우선구매가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전국 16개 권역에 공공기관 상담기관을 운영하여 공공기관의 구매 수요발굴 등 지역 맞춤형 공공구매를 지원하고 있으며,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제품의 경쟁력 강화 및 다양한 홍보활동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 의: 사회적기업과 동재형 (044-202-7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