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고용.복지 서비스 연계를 통해 희망을 찾은 사람들의 이야기 “내일을 향해 내딛는 희망의 발걸음”
등록일
2018-04-04 
조회
2,046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우수 사례집 발간 -

부산에 살고 있는 이병철 씨(가명)는 시각장애인 아버지, 저장강박증을 앓고 있는 어머니, 대인기피증이 있는 누나, 지적정애 3급의 여동생을 둔 위기의 청년가장이다.
5인 가족의 생계를 혼자 짊어져야하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이병철 씨(가명)는 희망을 잃지 않고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한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는 아버지의 외출을 함께 해 줄 장애인 활동 보조인을 신청하여 집안에서 TV만 보는 아버지의 외출을 독려하고, 어머니에게는 자활사업 제공 및 우울증 치료를 지원, 누나는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하여 미용직업전문학교의 네일아트기능사 과정을 이수하게 하였다.

지적장애 3급 판정을 받은 여동생은 장애인 근로 작업장에 취업할 수 있도록 동행면접 등을 지원하고, 이병철 씨(가명)는 직업훈련에 참여 후 지게차 운전원으로 취업하여 탈수급에 성공하였다.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한 이병철 씨(가명)와 가족들의 노력, 그리고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적극적인 지원이 합쳐져 이들은 내일을 향한 희망의 발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국민들이 한 곳만 방문하면 다양한 고용.복지 서비스를 편리하게 받을 수 있도록 여러 기관이 한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서비스 기관이다.

고용부, 행안부, 복지부, 여가부, 금융위 등 관계부처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통해 남모를 고통과 좌절을 견뎌내며 희망을 찾아가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고용복지+센터 우수 사례집’을 발간하였다.

이 사례집에는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고용과 복지 서비스 등을 함께 받으며 취업에 성공하여 내일을 향해 희망의 발걸음을 내딛는 사연들이 담겨있다.

청년가장과 가족들의 노력으로 모두가 빛을 보게 된 5인 가족의 희망기, 앞니가 없어 취업하기도 어려운데다 초등학생 아들을 홀로 키우는 경력단절여성의 취업 성공기, 온 가족의 짐을 홀로지고 고군부투하다 지쳐버린 청년가장의 취업 성공담, 알코올중독으로 병원에 갇혀 지내던 남성의 취업 성공기 등 고용복지+센터를 통해 희망을 찾은 우리 이웃의 생생한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례집에는 고용센터, 자치단체 복지지원팀, 새일센터, 서민금융기관 등 여러 기관이 한 곳에 모여 민원인의 문제 해결을 위해 고용과 복지 업무를 함께 고민하고 소통하는 현장의 이야기가 담겨있으며, 실의에 빠진 사례자들의 재기를 지원하는 고용복지+센터 참여기관들의 협업 노력뿐 아니라 상담원의 헌신과 열정, 사명감도 엿볼 수 있다.

 고용복지+센터는 민원인의 어려움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14년 남양주 고용복지+센터를 시작으로 확산되어 ’18년 3월 말 현재, 전국 98곳에 설치되었고, 운영이 안정화되어 감에 따라 서비스연계가 활성화 되는 등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고용부, 행안부, 복지부, 여가부, 금융위 등 고용복지+센터 관계부처는 전국 고용복지+센터 등에 사례집을 배포하여 더 많은 국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고용복지+센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이번 사례집은 고용노동부 및 고용복지+센터 홈페이지에서도 만나 볼 수 있다.
* 고용노동부: www.moel.go.kr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기타
* 고용복지+센터: www.workplus.go.kr → 알림

문  의:  고용서비스정책과 이상전 (044-202-7346)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