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 '17.10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등록일
2017-11-29 
조회
1,821 

근로실태 부문
 (임금총액) ’17.9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829천원으로 전년동월(3,647천원)대비 5.0%(+182천원)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4,055천원으로 전년동월(3,877천원)대비 4.6%(+178천원) 증가, 임시·일용직은 1,551천원으로 전년동월(1,456천원)대비 6.5%(+95천원) 증가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452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6.1%(+199천원)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5,446천원으로 3.8%(+200천원) 증가

(산업별)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9,886천원), 금융 및 보험업(6,406천원) 순이며,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106천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252천원) 순

(근로시간) ’17.9월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2.3시간으로 전년동월(159.1시간)대비 13.2시간(+8.3%)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8.5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3.8시간(+8.4%) 증가하였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09.2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3.3시간(+3.1%) 증가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3.1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2.6시간(+7.9%)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168.6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5.0시간(+9.8%) 증가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188.0시간), 제조업(187.7시간) 순이며, 근로시간이 짧은 산업은 건설업(144.6시간), 교육서비스업(148.4시간) 순

고용부문 (잠정결과)
(종사자) ’17.10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종사자 수는 17,61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45천명(+1.4%) 증가

(규모별)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4,91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5천명(+1.4%) 증가, 300인 이상은 2,70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0천명(+1.5%) 증가

(산업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0천명, +6.1%), 건설업(+33천명, +2.6%),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27천명, +2.7%) 등에서 주로 증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17년 들어 8~9만명대의 증가폭을 유지하고 있으며, 건설업은 ’17년 2월(+16천명) 이후 소폭 회복

전 산업 중 종사자 수가 약 21%를 차지하는 제조업의 경우, ’17년 9월 증가폭이 소폭 확대되었다가, 10월 증가폭 감소

(노동이동) ’17.10월 중 노동이동률은 8.1%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하였으며, ’17.2월 이후 노동이동이 활발해진 모습
    
다만, ’17년 들어 노동이동률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인 것은 추석명절, 임시공휴일 등 월력상 근로일수의 큰폭 감소에 기인(’16.10월 20일 →’17.10월 16일)

노동이동률이 큰 산업은 건설업(33.6%), 숙박 및 음식점업(16.3%) 순이고, 가장 작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8%), 교육서비스업(2.2%) 순임
    
전년동월대비 노동이동률이 가장 많이 상승한 산업은 건설업(+4.6%p),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2.7%p)로 나타났으며,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2.8%p),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2.3%p) 산업은 노동이동이 둔화

 (입.이직자) ’17.10월 중 입직자 수는 682천명으로 전년동월 대비 9천명(+1.4%) 증가, 이직자수는 66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2천명(+5.1%) 증가
    
’17.10월 입직률은 4.1%로 전년동월과 같고, 이직률은 4.0%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 수는 630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3천명(+2.2%) 증가, 이직자 수는 60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9천명(+6.8%) 증가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 수는 5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천명(-7.1%) 감소, 이직자 수는 5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7천명(-11.2%) 감소

(산업별) 입직자가 많은 산업은 건설업(220천명), 제조업(93천명) 순이며, 이직자가 많은 산업은 건설업(203천명), 제조업(95천명) 순

문  의:  노동시장조사과 김재훈 (044-202-7258)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