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고용행정 통계로 본 ‘17.6월 노동시장 동향
등록일
2017-07-10 
조회
620 

고용보험 가입 상시근로자(피보험자) 현황
(총괄) ‘17.6월 고용보험에 가입된 상시근로자(상용+임시, 일용 제외)의 취업 활동 동향을 보면, 전체 피보험자수는 1,281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1만명(+2.5%) 증가하여 지난 4월 이후 소폭 둔화 추세

(업종별) 보건복지(+63천명, +4.8%), 도소매(+51천명, +3.6%), 전문과학기술(+42천명, +6.2%), 숙박음식(+41천명, +8.2%) 등 서비스업 중심으로 증가

피보험자 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3,564천명)은 ‘기타운송장비제조업’ 감소 지속과 섬유, 의복제조 등 산업의 부진으로 소폭 감소

다만, 전자통신 제조업은 최근 디스플레이, 반도체 수출 증가 등으로 42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되었고, 기계 제조업도 증가세 지속

피보험자 증가율은 숙박음식(+8.2%), 연구개발, 법무, 기술, 엔지니어링 등을 포함하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2%) 순으로 높음

(연령‧산업별) ‘17.6월 연령별 피보험자는 50세이상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30~40대와 청년층은 증가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임
   
50세 이상에서 7%대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29세 이하와 30~40대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에도 피보험자는 소폭 증가

청년층의 산업별 피보험자를 보면 제조업이 57만 8천명으로 가장 많지만 가장 크게 감소(-13천명, -2.2%) 하였고, 숙박음식(+17천명, +11.2%), 도소매(+10천명, +3.3%), 전문과학기술(+10천명, +7.0%) 산업에서 증가

(규모‧산업별) ‘17.6월 사업체 규모별 피보험자는 300인 미만에서 23만 1천명(+2.5%), 300인 이상에서 8만명(+2.3%) 증가하여, 중소 사업체에서 피보험자 증가세를 주도

제조업은 300인 미만에서는 8천명(+0.3%) 증가한 반면, 300인이상에서 12천명(-1.1%) 감소

(성별) ‘17.6월 남성 피보험자는 11만 8천명(+1.6%) 증가하였고, 여성 피보험자는 19만 2천명(+3.7%) 증가하여 여성 비중이 점차 증가
   
여성 피보험자 증가율이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흐름이 지속

여성 피보험자 증가는 여성 비중이 높은 보건복지 산업에서 크고, 도소매업과 숙박음식 업종에서도 두드러짐. 한편, 제조업 남성의 큰 폭 감소에도, 여성은 식료품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며 피보험자 증가에 기여

피보험 자격 취득・상실 현황
노동이동의 정도를 보여주는 피보험 자격 취득자는 ‘17.6월 52만 9천명으로 1천명(-0.2%) 감소하였고, 상실자는 50만 4천명으로 1만 4천명(+2.9%) 증가

경력 취득자는 46만 2천명으로 전체 취득자(529천명)의 87.4%이고, 신규 취득자(66천명)의 7.0배로 경력직 취득이 확대되는 양상

신규취득자(66천명) 중에는 청년층이 41.7천명으로 62.9%를 차지하고, 숙박음식(11.5천명), 제조업(10.9천명) 및 도소매업(10.4천명) 등을 중심으로 신규취득자수가 많음

구직급여 신청 및 지급 현황
 취업에서 비자발적 실업 상태로의 이동 추이를 보여주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는 ‘17.6월 7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천명(-2.6%) 감소
 
‘17.6월 전체 구직급여 지급자는 39만 2천명으로 0.4천명(-0.1%) 감소하였으며, 지급액은 4,424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22억원(+5.3%) 증가하였음

통상적으로 계약 유지가 지속되는 1~3분기에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수는 연말보다 적은 경향을 보임

구인・구직 현황
 ‘17.6월 고용노동부 Work-net의 신규 구인인원은 26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2천명(+9.2%) 증가하였고, 신규 구직건수는 41만 7천명으로 4만 2천명(+11.1%) 증가

 구직의 어려운 정도를 보여주는 구인배수는 0.63으로 전년동월(0.64) 보다 낮아졌으며, 구직 어려움이 여전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남

 ‘17.6월 신규 구직자를 보면 남성(179천명)보다 여성(239천명)이 더 많았고, 연령별로는 29세 이하(115천명)가 가장 많음

신규 구직자 증감률은 남성(+9.8%) 및 여성(+12.2%) 모두 증가하였으며, 60세이상(+30.0%)에서 크게 증가

문  의:   미래고용분석과 천경기 (044-202-7254)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