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뉴스·소식
보도자료
- 제목
- 2025년 3분기(누적)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잠정결과 발표
- 등록일
- 2025-11-25
- 조회
- 179
□2025년 3분기(누적)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457명(440건)으로 전년 동기 443명(411건) 대비 14명(3.2%) 증가
ㅇ(업종별) ▲건설업 210명(200건)으로 7명(3.4%) 증가(건수 동일) ▲제조업 119명(115건)으로 15명(11.2%) 감소(7건 증가)▲기타업종 128명(125건)으로 22명(20.8%) 증가(22건 증가)
ㅇ(규모별) ▲50인(억) 이상은 182명(170건)으로 12명(6.2%) 감소(4건 증가) ▲50인(억) 미만은 275명(270건)으로 26명(10.4%) 증가(25건 증가)
ㅇ(유형별) 끼임, 화재·폭발 등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떨어짐, 무너짐 등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기타업종에서 사고사망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했는데,
ㅇ사업장 규모가 영세하고 안전관리 수준이 열악한 도·소매업(20명, +11명), 농림어업(19명, +10명) 등*에서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난 것과
*(도·소매업) 운반 작업 중 지게차·트럭 등에 부딪힘 등(농림어업) 쓰러지는 벌도목에 맞음, 임산물 채취 중 나무에서 떨어짐 등
-특히,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16명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건설업은 2월에 발생한 대형 사고(기장 화재사고 6명,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 4명)의 영향도 있었으나,
ㅇ공사 기간이 짧고, 안전관리 수준이 열악한 5억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19명이 증가한 것이 증가 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정부는 현 상황을 매우 엄중히 인식하고, 4분기에는 중대재해 감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취약 분야 중심으로 산재예방활동 적극 추진 중
ㅇ우선, 10월 말부터 연말까지 ‘집중점검주간’을 운영, 소규모 건설현장 및 도·소매업 등 기타업종 대상으로 전국적인 집중 점검을 추진
ㅇ또한, 「지붕공사 추락대책」(10.24.), 1억 미만 건설현장 추락 감독(10∼12월), 「벌목작업 안전강화 대책」(11.13.) 등 사망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세부 분야에 특화된 정책을 마련, 추진하고 있음
ㅇ기타업종은 건물종합관리업, 도·소매업, 위생 및 유사서비스업 협회·단체 등과 간담회를 개최*, 회원사에 대한 안전보건규칙 준수 당부, 정부 재정지원 사업 안내 등 전방위적인 재해 예방 활동을 추진 중
*건물종합관리업(10.22.), 위생 및 유사서비스업(10.29.), 도·소매업(11.5.)
□아울러, 그간 행정력이 미치지 못한 소규모 사업장의 산재예방활동 강화를 위해 지방 노동관서-자치단체 합동 점검* 등 기관 간 협업을 강화 중임
문 의: 중대산업재해수사과 류경호(044-202-8958)、 박성욱(044-202-8959)、 신상호(044-202-8957)
ㅇ(업종별) ▲건설업 210명(200건)으로 7명(3.4%) 증가(건수 동일) ▲제조업 119명(115건)으로 15명(11.2%) 감소(7건 증가)▲기타업종 128명(125건)으로 22명(20.8%) 증가(22건 증가)
ㅇ(규모별) ▲50인(억) 이상은 182명(170건)으로 12명(6.2%) 감소(4건 증가) ▲50인(억) 미만은 275명(270건)으로 26명(10.4%) 증가(25건 증가)
ㅇ(유형별) 끼임, 화재·폭발 등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떨어짐, 무너짐 등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기타업종에서 사고사망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했는데,
ㅇ사업장 규모가 영세하고 안전관리 수준이 열악한 도·소매업(20명, +11명), 농림어업(19명, +10명) 등*에서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난 것과
*(도·소매업) 운반 작업 중 지게차·트럭 등에 부딪힘 등(농림어업) 쓰러지는 벌도목에 맞음, 임산물 채취 중 나무에서 떨어짐 등
-특히,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16명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건설업은 2월에 발생한 대형 사고(기장 화재사고 6명,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 4명)의 영향도 있었으나,
ㅇ공사 기간이 짧고, 안전관리 수준이 열악한 5억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19명이 증가한 것이 증가 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정부는 현 상황을 매우 엄중히 인식하고, 4분기에는 중대재해 감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취약 분야 중심으로 산재예방활동 적극 추진 중
ㅇ우선, 10월 말부터 연말까지 ‘집중점검주간’을 운영, 소규모 건설현장 및 도·소매업 등 기타업종 대상으로 전국적인 집중 점검을 추진
ㅇ또한, 「지붕공사 추락대책」(10.24.), 1억 미만 건설현장 추락 감독(10∼12월), 「벌목작업 안전강화 대책」(11.13.) 등 사망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세부 분야에 특화된 정책을 마련, 추진하고 있음
ㅇ기타업종은 건물종합관리업, 도·소매업, 위생 및 유사서비스업 협회·단체 등과 간담회를 개최*, 회원사에 대한 안전보건규칙 준수 당부, 정부 재정지원 사업 안내 등 전방위적인 재해 예방 활동을 추진 중
*건물종합관리업(10.22.), 위생 및 유사서비스업(10.29.), 도·소매업(11.5.)
□아울러, 그간 행정력이 미치지 못한 소규모 사업장의 산재예방활동 강화를 위해 지방 노동관서-자치단체 합동 점검* 등 기관 간 협업을 강화 중임
문 의: 중대산업재해수사과 류경호(044-202-8958)、 박성욱(044-202-8959)、 신상호(044-202-8957)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51125 2025년 3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통계 발표(중대산업재해수사과).hwpx
251125 2025년 3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통계 발표(중대산업재해수사과).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