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뉴스·소식
보도자료
- 제목
- 노동이 있는 “산업전환”, 일자리 해법 찾는다.
- 등록일
- 2025-11-25
- 조회
- 121
- 고용노동부, 「산업전환 고용안정 전문가」 포럼 출범
고용노동부는 11월 25일(화), ‘산업전환 고용안정 전문가’ 포럼(이하, ‘포럼’) 출범식 및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장관과 고용·노동 및 지역·산업분야 전문가 12명이 참여했다.
이번 포럼은 탄소중립 및 디지털·인공지능(AI) 전환 등 산업전환에 따라 지원의 필요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업종·지역에 대한 지원방안과 함께 노·사·정 사회적 대화를 기반으로 노동전환 및 고용안정 등을 지원하기 위한 중장기 고용노동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오늘 첫 회의에서는 「탄소중립 주요업종 현황 및 디지털·인공지능(AI) 전환에 따른 고용영향」과「탄소중립 주요업종 인력수급 전망」을 주제로 전문가 발제 후, 위원들 간 자유로운 토론이 이루어졌다.
고용노동부는 내년 3월까지 월 2회 포럼을 개최하고, 논의 결과를 토대로 산업전환에 따른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영훈 장관은 “급격한 산업전환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누구도 뒤처지지 않고 모두가 함께 적응하며 새로운 일자리로 전환할 수 있는 ‘노동이 있는 산업전환’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면서,
“전문가 포럼 등을 통해 산업과 직무 변화를 예측하고, 산업전환에 대응하여 누구나 필요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과 이직·재취업 과정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망 구축 방안을 설계·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문 의: 지역산업고용정책과 송은정(044-202-7398)
고용노동부는 11월 25일(화), ‘산업전환 고용안정 전문가’ 포럼(이하, ‘포럼’) 출범식 및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장관과 고용·노동 및 지역·산업분야 전문가 12명이 참여했다.
이번 포럼은 탄소중립 및 디지털·인공지능(AI) 전환 등 산업전환에 따라 지원의 필요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업종·지역에 대한 지원방안과 함께 노·사·정 사회적 대화를 기반으로 노동전환 및 고용안정 등을 지원하기 위한 중장기 고용노동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오늘 첫 회의에서는 「탄소중립 주요업종 현황 및 디지털·인공지능(AI) 전환에 따른 고용영향」과「탄소중립 주요업종 인력수급 전망」을 주제로 전문가 발제 후, 위원들 간 자유로운 토론이 이루어졌다.
고용노동부는 내년 3월까지 월 2회 포럼을 개최하고, 논의 결과를 토대로 산업전환에 따른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영훈 장관은 “급격한 산업전환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누구도 뒤처지지 않고 모두가 함께 적응하며 새로운 일자리로 전환할 수 있는 ‘노동이 있는 산업전환’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면서,
“전문가 포럼 등을 통해 산업과 직무 변화를 예측하고, 산업전환에 대응하여 누구나 필요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과 이직·재취업 과정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망 구축 방안을 설계·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문 의: 지역산업고용정책과 송은정(044-202-7398)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51125 고용노동부_산업전환 고용안정 전문가 포럼 출범(지역산업고용정책과).hwpx
251125 고용노동부_산업전환 고용안정 전문가 포럼 출범(지역산업고용정책과).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