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언론보도설명

제목
(설명) 중앙일보(11.24) "비정규 폭증 오류라는 정부, 올해만 기간제 63만명 늘었다" 기사 관련
등록일
2019-11-25 
조회
1,024 
2019.11.24.(일), 중앙일보 "비정규 폭증 오류라는 정부, 올해만 기간제 63만명 늘었다" 기사 관련 설명

주요 기사내용
올해 10월 말 현재 임금 근로자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337만 5119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2만 7121명이나 늘었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결과 지난해 9월 이후 87만명의 비정규직이 늘어났다는 게 엉뚱한 통계가 아니었다. 오히려 올해 들어 고용시장에서 비정규직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가 고스란히 드러났다.

설명내용
올해 경제활동인구조사 및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는 ILO 新종사상지위 개정을 반영하기 위한 병행조사(‘19.3월, 6월, 9월) 영향으로 과거 미포착된 기간제근로자가 추가로 포착되어, 전년대비 증감비교를 할 수 없음


병행조사에서는 경활조사 질문(고용예약기간을 ‘정하지 않았음’으로 응답할 경우 다음 문항으로 이동)에 이어 별도의 설문을 통해(그림 참조) 고용계약기간 ‘정하지 않았음’ 응답자에게 ‘고용예상기간’을 추가 질문
⇒ 계약기간에 대한 인지가 불분명했던 응답자가 경활조사의 ‘정하지 않았음’ 응답 내용을 ‘정하였음’으로 수정할 수 있음

그 결과 전년동월과 단순비교 시 기간제근로자는 병행조사를 실시한 3, 6, 9월에 집중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병행조사 미실시 기간에도 응답자의 인지변화가 반영되어 직전월과 유사한 수준의 증가를 유지
병행조사 실시 이전인 1~2월 기간제 증가폭은 평균 18.4만명 수준이었으나, 이후에는 73.8만명(3~10월 평균) 증가

따라서, 금년 3월 이후는 병행조사 효과로 기간제, 한시적, 비정규직 근로자 규모를 전년대비 증감으로 비교하는 것은 불가함

문  의:  미래고용분석과  천경기 (044-202-7254),김주봉 (044-202-7284)








문  의:  미래고용분석과  천경기 (044-202-7254),김주봉 (044-202-7284) 
첨부
  • hwp 첨부파일 11.24 비정규직 폭증 오류라는 정부(중앙일보 설명 미래고용분석과).hwp 다운로드 바로보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