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민원
빠른인터넷상담
- 질의
- 저는 4월29일 회사에서일방적인 해고를 당하여 신고하려합니다
어찌해야 되는지요?보상받을방법은 있는지요? 회사는 5인이하 사업장 입니다
- 답변
-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부당해고 등의 구제신청(근로기준법 제28조)
한편 5인 미만 사업장이라도 다음과 같은 주요 근로조건은 적용됩니다.
- 해고의 예고(근로기준법 제26조)
가. 「근로기준법」제2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하여야 하고, 30일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해고는 해고일을 명시하여야 하고, 불특정기간이나 조건을 붙인 해고는 무효이며 일단 해고예고를 한 뒤에는 민법 제543조제2항에 따라 근로자 동의가 없는 한 철회할 수 없음
나. 다만, 관련 법률- 근로기준법 제35조(해고예고의 적용예외)제26조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근로자에게는 적용하지 아니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근로기준법 제26조의 해고예고 적용 제외 사유(2019.1.15. 법 개정 이후 근로계약 체결부터 적용)
1. 근로자가 계속 근로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
2. 천재ㆍ사변,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3. 근로자가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 이전글계약직 주 5일 근무자로 5월5일~6일근무하고 10일 11일 쉬었는데 휴일근무수당을 6일
- 다음글산안법 제29조 교육 관련입니다. 관리감독자 교육은 외부 위탁 교육만 인정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