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민원
빠른인터넷상담
- 질의
- 배우자와의 동거를 위한 거소이전 사유로 실업하게 되었습니다. 3월까지 근무하고 퇴직한 후 5월 이전예정인데,실업급여 신청은 이전하고 나서 신청 가능한가요?
- 답변
- 퇴사 사유가 개인의 사유로 인한 자발적 퇴사일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실업급여가 제한되나 배우자와의 동거를 위한 거소 이전 시 출퇴근이 곤란하여 자진 퇴사한 경우에는, 자발적으로 퇴사하더라도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표 2의 제6호 다목에 따라, ①배우자와 동거를 위해 퇴사하는 경우로서 ②합가한 주소지와 사업장과의 통근시간이 통상의 교통수단으로 왕복 3시간 이상 소요되고, ③거주지 이전 지역에서 배우자가 취업·창업한 상태이며, ④사유발생일(전입일)로부터 가까운 시일 내에 퇴사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이 때, 「고용보험법」 제40조에 따른 180일의 피보험단위기간 등 기타 실업급여 수급요건 충족 전제).
- 실업급여 수급자격 시 제출서류로는 일반적으로 배우자의 재직증명서 및 본인의 진술서(거소 이전의 필요성 확인), 주민등록 등초본(주소 이전 및 동거여부 확인), 전입신고 관련서류 등이 필요하며(신분증 지참) 왕복3시간이상 소요의 경우 버스 스케줄표 또는 지도 등으로 입증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원칙적으로 결혼을 사유로 결혼식 이전에 퇴사한 경우는 수급자격을 인정받을 수 없으나, 결혼식 이후 동거(합가)할 경우 거주지 이전으로 통근이 곤란하게 될 경우로서 결혼식 이전 1개월 이내에 이직한 경우라면 이직의 불가피성을 인정받을 수 있음(결혼식 이후는 배우자 동거)
- 고객상담센터에서는 일반적인 고용노동관계법령을 토대로 안내드리고 있는 점 양해바라며, 귀하의 경우 이전할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실업급여 수급자격팀으로 방문 및 유선 통화하여 실업급여 수급자격이 인정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이전글회사에서 4/30일 계약만료통보받았고,, 4/1-4/30일까지 육아휴직 신청가능한가요?
- 다음글h2나 f4비자를 가진 외국인의 경우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근로자는 고용유지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