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2017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 개최
등록일
2017-05-25 
조회
2,017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이재흥)은 5월 26일(금)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17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고용패널학술대회는 2002년에 처음 개최돼 이번이 16회째이며, 매해 대학과 연구기관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고용을 비롯해 복지와 교육 등을 주제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청년.대졸자, 노동시장 성과, 중고령자, 진로직업, 직무만족.직무적성, 학생 등 14개 발표 분과로 나누어, 42편의 전문가 논문과 4편의 학생 논문 수상작을 발표한다.

 다음은 주요 발표 논문 내용이다.

<대졸자들은 왜 중소기업을 기피하는가?>
 강순희 경기대 교수와 안준기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한 <대졸자들은 왜 중소기업을 기피하는가?> 논문에서 대졸 청년 취업자들의 중소기업 기피 원인을 분석했다.

이 논문은 2014년에 대학을 졸업하여 취업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어떤 특성들이 대기업과 중소기업 취업을 구분하여 결정하는가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로짓모형을 활용한 분류분석).

기초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졸 청년층의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상대임금은 79.8로, 전체 근로자(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상대임금 51.3에 비해 격차가 작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졸 청년층의 대.중소기업간 임금격차는 전체 근로자의 임금격차보다는 낮게 나타나지만, 여전히 청년층에게 임금격차는 중소기업의 중요 기피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로짓분석을 통해 대졸 청년층의 중소기업 기피 이유를 추정한 결과, 그간 중소기업 기피요인으로 지적되어온 임금이나 소득격차 외에도 ‘복리후생제도’, ‘현재 일자리와 일에 대한 사회적 평판’, ‘직무관련 교육훈련’, ‘근무환경’ 등도 중소기업 취업을 기피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강순희 교수는 “대졸자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해 임금격차 해소뿐 아니라 복리후생제도와 근무환경 개선, 교육훈련기회 마련,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대졸자 취업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 변화 분석>
김수경 평택대학교 조교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대졸자 취업에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 변화 분석>을 발표한다.

논문은 지난 10년(2005~2014년) 동안 대졸자 취업에 대학변인과 개인변인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비교.분석했다. 
    
논문에 따르면, 개인변인이 대학변인보다 대졸자 취업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간 대학변인은 대졸 취업자의 기업규모와 소득을 결정하는데 영향력이 증가했지만, 개인변인은 대졸 취업자의 기업규모와 소득뿐만 아니라 고용형태를 결정하는데도 영향력이 증가했다.

특히, 개인변인 중 ‘어학연수 경험’, ‘자격증 여부’는 고용형태(상용근로자,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자영업자)에, ‘졸업학점’은 취업하는 기업의 규모와 소득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했다.  반면, 성별.나이.복수전공.부전공.연계전공이 취업에 미친 영향은 모두 감소했다.

김 교수는 대학생활 기간에 개인이 얼마나 다양한 활동을 하고 충실하게 취업준비를 했는지가 취업과 소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한다.

<대학 재학 중 근로와 노동시장 성과>
 김세움·오선정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진은 청년패널조사 1~8차 자료를 활용한 <대학 재학 중 근로와 노동시장 성과>를 통해 대학 재학 중 근로활동이 졸업 후 취업 및 임금수준, 종사상 지위 및 근로형태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분석 결과, 재학 중 일 경험 등 근로를 경험한 졸업자들의 취업 확률은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5~8%p 높게 나왔다. 반면, 일자리의 질을 나타내는 임금수준이나 종사상 지위 및 고용형태 등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논문은 “대학 재학 중 일 경험 제공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 시행될 때 졸업생의 취업확률 제고라는 고용의 양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는 기대할만하다”면서,  “대학생 본인이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고 실제 취업 가능성이 있는 업종이나 직종에서 일 경험을 해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계한다면 임금수준 등 고용의 질을 높이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다.

<정부의 취약계층 청년 지원정책 효과 분석>
 양정승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취약계층 청년 지원정책 효과 분석>에서 정부의 학자금대출과 장학금 제도는 저소득층 대학생 자녀의 고용성과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발표한다. 

 논문은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이용하여 정부의 취약계층지원정책이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친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정부지원 학자금 대출과 장학금 제도는 저소득가구 대학생의 졸업 후 고용률, 선망직장 취업률, 정규직 취업률 등을 높이고 평균임금을 높이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긍정적 효과는 주로 저소득 가구에 한해서 나타나며, 가구 소득이 높아지면 이 긍정적 효과는 사라진다고 분석했다.

양정승 연구위원은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학자금대출과 장학금 지원의 지원대상을 중간소득 가구 이상으로 확대하기보다 저소득 가구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문  의:  고용패널조사팀  박선연 (043-870-8251)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