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2016년판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 발간
등록일
2016-07-26 
조회
1,561 

고용노동부는 지역별 인구, 경제상황, 산업구조 등 고용노동정책 추진의 기초자료로서,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조망할 수 있도록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을 작성.배포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고용노동관련 통계를 종합 정리한 것으로 전체 내용 편제는 "전국총괄", "지역별현황", "업종별현황", "대상별현황" 등 크게 4개 편, 1개 부록으로 구분하고, 각 구성별 통계지표를 분석.수록하였다. 

발표한 내용을 따라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주요특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사업체와 인구(15~64세)는 수도권에 집중
 
전국의 총 사업체(2014년 381만개) 중 42.6%(162만개)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밀집해있으며, 농림어업, 광업, 전기.가스.수도사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사업체 비중이 높음
 
전국 대비 인구 비중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이 전체 인구의 49.7%를 차지해 지역 편중이 심화되어 있음

지역의 종합경제지표인 지역내 총생산(GRDP)는 서울과 경기지역이 전국의 44.2%를 차지, 1인당 GRDP가 가장 높은 곳은 울산(58,880천원)임
 
서울지역의 주요산업은 도소매업, 금융업, 사업서비스업, 부동산.임대업(51%)인데 비해 울산, 경기, 인천은 제조업이 총생산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음
* 총생산중 제조업 비중: 울산(55.9%), 경기(36.2%), 인천(26.1%), 대구(21.6%)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 중 울산은 300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비율이 46.9%로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편, 반면 경기(84.6%), 인천(87.4%)지역은 30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 비율이 매우 높음

 주요 노동력인 15~64세 인구의 비중은 특·광역시 및 경기지역이 73~75%, 세종 및 도지역은 64~71% 수준인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도지역에 집중된 모습
    
15~64세 인구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76.2%),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가장 낮고(64.6%), 고령자 비중이 가장 높은(22.0%) 지역은 전남임

취업자의 50.1%가 수도권에 집중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72.2%), 가장 낮은 곳은 울산(62.2%)으로 나타남, 특히 울산의 여성고용률은 41.6%로 가장 낮게 나타남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에서 종사하는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 및 근로시간을 보면 
 
충북지역 및 자동차, 선박제조업 등이 밀집된 울산 지역이 가장 장시간 근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 평균임금은 자동차, 조선, 철강, 정유 등 업종의 대규모 사업체가 분포하는 울산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금융서비스업 사업체와 대다수 기업체 본사가 소재하는 서울지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OECD 국제비교 부분에서 우리나라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은 2013년 US$ PPP 환율 기준으로 62천 달러이며, OECD 34개국 중 22번째이다.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47천 달러로 OECD 26개국 중 21번째임. 서비스업의 낮은 노동생산성이 전체 노동생산성을 낮게 하는 요인임

 고용노동부 김경선 노동시장정책관은 “우리나라의 국토면적이 작고, 교통?통신이 매우 발달하여 지역간 산업 및 노동시장구조가 동질적일 것 같지만 실상을 확인하면 매우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전하며  “이 자료집을 통해 지역 맞춤형 일자리 정책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립되고, 일반 국민들도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노동시장 여건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많은 관심과 활용을 부탁하였다.


문  의:  노동시장분석과 김재훈 (044-202-7258)

첨부
  • hwp 첨부파일 7.26 16년도 통계로 보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모습(노동시장분석과).hwp 다운로드 미리보기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