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16.4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근로실태는 ‘16.3월 기준)
등록일
2016-05-30 
조회
1,662 
1. 근로실태 부문

(명목임금) ’16.3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283천원으로 전년동월(3,174천원)대비 3.4%(+109천원)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473천원으로 전년동월(3,351천원)대비 3.6%(+121천원) 증가, 임시·일용직은 1,413천원으로 전년동월(1,384천원)대비 2.1%(+29천원) 증가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951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3%(+95천원)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4,613천원으로 0.9%(+43천원) 증가

(산업별) 월평균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7,456천원), 금융 및 보험업(6,110천원) 순이며,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848천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2,021천원) 순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이 높은 산업은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8.4%),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7.4%) 순이며, 낮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0.3%),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1.1%) 순

(근로시간) ’16.3월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80.4시간으로 전년동월(180.7시간)대비 0.3시간(-0.2%) 감소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87.2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1시간(-0.1%) 감소하였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13.3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6시간(-1.4%) 감소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81.2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3시간(-0.2%) 감소, 상용 300인 이상은 176.9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5시간(-0.3%) 감소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199.5시간), 제조업(195.3시간) 순이며, 근로시간이 짧은 산업은 건설업(153.8시간), 교육서비스업(153.9시간) 순

2. 고용 부문

(종사자) ’16.4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종사자 수는 16,318천명으로 전년동월(15,960천명)대비 358천명(+2.2%)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429천명(+3.2%) 증가하고, 임시·일용근로자는 66천명(-3.7%) 감소, 기타종사자는 4천명(-0.4%) 감소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330천명(+2.4%)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29천명(+1.2%) 증가

(산업별)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95천명), 도매 및 소매업(+83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9천명) 순으로 증가하고, 숙박 및 음식점업(-24천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7천명)은 감소
*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은 고령화로 인한 사회복지확대로 고용 증가세를 지속하고, 도매 및 소매업은 도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은 전문서비스업, 건축기술․엔지니어링 분야 등에서 고용 증가를 주도

전년동월대비 종사자 수 증가율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7.3%), 부동산업 및 임대업(+6.6%) 순으로 크고, 감소율은 숙박 및 음식점업(-2.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1.2%)이 큼

(입․이직자) ’16.4월 중 입직자 수는 694천명으로 전년동월(763천명)대비 68천명(-9.0%) 감소, 이직자 수는 639천명으로 전년동월(657천명)대비 18천명(-2.8%) 감소

’16.4월 입직률은 4.5%로 전년동월대비 0.6%p 하락, 이직률은 4.2%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 수는 62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7천명(-9.7%) 감소하고, 이직자 수는 57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6천명(-4.4%) 감소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 수는 7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천명(-2.5%) 감소하고, 이직자 수는 66천명으로 8천명(+13.5%) 증가

(산업별) ’16.4월 중 입직자가 많은 산업은 건설업(131천명), 제조업(113천명) 순이며, 이직자가 많은 산업도 건설업(128천명), 제조업(111천명) 순으로 나타남

전년동월대비 입・이직 등 노동이동이 확대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입직 +4천명, 이직 +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입직 +2천명, 이직 +4천명) 등이며, 노동이동이 축소된 산업은 건설업(입직 -37천명, 이직 -18천명), 제조업(입직 -13천명, 이직 -7천명) 등임

문의: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 사무관 정 향 숙 ☎ 044-202-7257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