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고용·복지 서비스 연계는 글로벌 트렌드… 한국의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우수 사례”
등록일
2014-09-19 
조회
1,220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와도 맞다. 한국의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모델이 고용과 복지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세계 각 국의 고용서비스 분야 전문가들이 우리나라의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대해 많은 격려와 함께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고용과 복지를 성공적으로 결합한 훌륭한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타냈다.

 세계공공고용서비스협의회(WAPES) 국제컨퍼런스가 9월17~18일 이틀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렸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유길상 한국고용정보원장을 비롯한 세계 각 국의 고용서비스 전문가들이 참석해 ‘공공고용서비스의 모델 : 중앙화와 지방화’를 주제로 각 국의 공공 고용서비스 전달 체계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WAPES 부회장을 겸하고 있는 유 원장은 컨퍼런스 첫 날인 17일 세계 각 국의 고용서비스 전문가와 러시아의 고용서비스 관계자 150여 명이 모인 자리에서 우리나라 고용서비스의 현황과 성과 등을 담은 <한국 고용서비스의 발전과 혁신 사례>를 발표했다. 

  유 원장은 한국 고용서비스의 발전 과정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서비스 혁신 사례로 취업성공패키지와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발표했다. 

 유 원장은 저소득층과 청년층 및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취업성공패키지 프로그램을 설명하면서 “2009년에 도입된 취업성공패키지는 첫 수요자 맞춤형 고용서비스로, 2013년 취업률이 62%에 달하는 등 성공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 원장은 또한 올해 경기 남양주를 시작으로 경북 구미와 충남 천안 등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추진 배경, 특징, 참여기관 구성, 추진 성과 등을 소개한 후 “센터의 방문자가 늘고 취업알선 실적이 증가하는 등 센터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유 원장의 발표에 대해 세계 각 국의 고용서비스 전문가들은 “한국의 고용복지 통합 모델은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성공적인 정착을 기대했다. 

  장 삐에르 칼라이스 WAPES 유럽담당 부회장은 한국의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큰 관심을 표명하며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지역의 공공과 민간 기관 간의 파트너십에 의한 매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례로서 세계적인 공공 고용서비스 혁신 추세와도 부합하는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스위스의 올리비에 고용서비스공단 수석노동시장분석관은 “한국의 고용복지플러스센터는 지방과 중앙이 일자리 및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해 협업하는 성공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 원장은 “한국의 고용서비스는 적극적인 인프라 투자와 지속적인 제도 개혁, 프로그램 개선 등을 통해 취약계층을 비롯한 국민들의 일자리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고용복지 맞춤형 원스톱 서비스’가 제대로 국민들에게 전달되려면 이해 관계가 얽힌 기관들은 물론 중앙정부와 지자체, 공공과 민간 간의 유기적인 파트너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의:  연구조정・국제협력팀  김희대 (02-2629-7013)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