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노동부, ‘09년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 확정
등록일
2009-03-17 
조회
608 
노동부는 지역특성에 맞는 고용창출 및 직업능력개발을 통해 지역간 노동시장 불균형을 해소토록 하기 위하여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의 ‘09년도 지원사업 103개를 선정·발표하였다. 금년에는 총 113억원을 투입하여 103개의 지원사업에서 지역이 필요로 하는 기술전문인력 양성과 일자리 3,600여개가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선정된 주요사업을 살펴보면,
(재)대전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이 되어 실시하는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영상 정보네트워크”, (재)부산인적자원개발원에서 실시하는 “부산광역시 고용촉진지구 시범운영사업”, 대구상공회의소에서 실시하는 “기업주문형 전문인력 개발지원 사업” 등 해당 지역의 특화사업과 특화사업이 포함된 패키지사업이 주로 선정되었으며,

이들 사업은 각각 지역 특성에 맞는 인적자원개발 등을 통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취업을 촉진하는 등 지역의 일자리 창출 및 고용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은
06년부터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창출 및 인적자원개발사업 발굴을 위하여 지역의 고용관련 “비영리법인 이나 비영리단체” 또는 이들이 중심이 되어 구성하는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지역별로 사업을 공모하며,

공모 제안사업을 지역별로 고용관련 유관기관 및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통하여 지원사업을 최종 확정하게 되고,선정된 사업에 대하여는 사업별로 최고 10억원까지 연차별 사업평가를 거쳐 최대 3년간 지원하게 된다.

외부전문기관의 평가에 의하면
동 사업이 3년차에 들어서면서 지역고용사업의 경험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살리는 기관 참여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지역내 전문가들의 관심과 참여확대로 지역고용네트워크 형성과 중앙정부 주도의 정책으로는 발굴하기 힘든 지역밀착형 사업개발이 이루어져, 향후 지역고용·인적자원개발 서비스의 질적향상 및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토대가 마련되는 등 지역 일자리창출에 일정한 성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사업 홍보나 매칭펀드를 통한 자자체의 참여가 높아지고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에 대한 지역주체들의 인식이 보다 더 제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갑 고용정책관은 “앞으로도 노동부는 지자체·지역고용관련 기관 등의 적극적 참여 유도와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을 개발하는 등 일자리창출 사업이 확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 의: 지역고용개발팀 최상열 (2110-7163)
첨부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