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정보공개
주요발간자료
연구용역보고서
- 제목
- 중소기업의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 확대방안(1997)
- 담당부서
- 고용보험정책팀
- 전화번호
- 503-9750
- 담당자
- 이상복
- 등록일
- 2003-06-24
目 次
Ⅰ. 序 論
Ⅱ. 中小企業 職業訓鍊의 意義
1. 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의의
2. 중소기업 직업훈련의 중요성과 애로요인
Ⅲ. 中小企業의 職業訓鍊 實態
1. 중소기업관련 직업훈련의 체계
2. 중소기업 숙련형성의 한·일간 비교
3. 중소기업의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실태
Ⅳ. 主要國의 中小企業 職業敎育訓練과 政策 분석
1.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에 관한 경험적 논의
2. 주요 국가들의 중소기업 직업훈련 활성화
Ⅴ. 中小企業의 職業能力開發事業 參與活性化 方案 시책
1. 중소기업 직업교육훈련체제의 전환
2. 현장훈련(OJT)에 대한 훈련인정기준의
완화와 지원 강화
3. 출장훈련 및 주문식훈련, 휴일 및 야간훈련의
활성화
4. 중소기업 공동훈련의 활성화와
시설·훈련장비의 활용도 제고
5. 대기업의 중소기업 직업훈련지원체제 강화
6. 직업능력개발사업 적용대상의 확대와
보험료율의 재설정 및 바우처제도의 적용
7. 개별근로자에 대한 직업교육훈련
參考文獻 직접지원체제의 확충
附 表
Ⅰ. 序 論
Ⅱ. 中小企業 職業訓鍊의 意義
1. 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의의
2. 중소기업 직업훈련의 중요성과 애로요인
Ⅲ. 中小企業의 職業訓鍊 實態
1. 중소기업관련 직업훈련의 체계
2. 중소기업 숙련형성의 한·일간 비교
3. 중소기업의 직업능력개발사업 참여실태
Ⅳ. 主要國의 中小企業 職業敎育訓練과 政策 분석
1. 중소기업의 교육훈련에 관한 경험적 논의
2. 주요 국가들의 중소기업 직업훈련 활성화
Ⅴ. 中小企業의 職業能力開發事業 參與活性化 方案 시책
1. 중소기업 직업교육훈련체제의 전환
2. 현장훈련(OJT)에 대한 훈련인정기준의
완화와 지원 강화
3. 출장훈련 및 주문식훈련, 휴일 및 야간훈련의
활성화
4. 중소기업 공동훈련의 활성화와
시설·훈련장비의 활용도 제고
5. 대기업의 중소기업 직업훈련지원체제 강화
6. 직업능력개발사업 적용대상의 확대와
보험료율의 재설정 및 바우처제도의 적용
7. 개별근로자에 대한 직업교육훈련
參考文獻 직접지원체제의 확충
附 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