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정보공개
주요발간자료
연구용역보고서
- 제목
- 고용보험과제(직업이동(패널))-2001-
- 담당부서
- 고용보험정책팀
- 전화번호
- 02)503-9769
- 담당자
- 이선영
- 등록일
- 2002-08-06
1997년 말의 외환위기를 시발로 20세기 말에 한국 사회가 겪은 경제․사회적 위기는 1960년대 초 이후부터 시작된 40년의 경제개발의 역사를 마감하고 새로운 21세기로 진입하는 단계에서 겪어야만 했던 고통의 통과의례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기업의 대대적인 구조조정, 대량실업의 발생과 고용구조의 악화, 노사갈등의 고조, 가족의 해체, 노숙자의 증가 등 경제위기가 가져다 준 사회적 충격은 역사상 유례가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금융시장, 기업경영, 노동시장, 노사관계, 사회안전망 등 우리 사회의 여러 부문에서 취약한 구조들이 많이 드러났다. 특히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노동의 공급과 수요 양 측면에서 우리 노동시장은 심각한 양적․질적 변동을 겪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임시․계약직의 증가로 인한 고용의 불안정화, 임금체계의 양극화, 근로조건과 기업복지의 후퇴 등 고용의 양과 질에 있어서의 저하가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 시점에 연구자들에게 남겨진 과제는 지난 40년간의 산업․직업구조에 있어서의 변화와 경제위기를 전후로 하는 노동시장의 변화를 면밀하게 비교분석하고 그러한 분석 결과를 가지고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해 온 여러 가지 노동시장 관련정책과 대책들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보다 나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보고서는 원내외의 연구진들이 제 1~3차년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와 변화를 다양한 측면에서 기술하고 특별히 중요한 연구과제인 직업이동과 계층이동에 관한 심층분석 결과를 하나의 단행본으로 내놓게 된 것은 아주 뜻깊은 연구 성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그간 한국 노동시장에 관한 본격적인 미시자료의 분석이 미흡했던 상황에서 나온 본 연구보고서가 위기와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근로자들의 고용을 안정시키고 삶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노동정책의 수립과 실행을 위한 귀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01년 12월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이 원 덕
이러한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금융시장, 기업경영, 노동시장, 노사관계, 사회안전망 등 우리 사회의 여러 부문에서 취약한 구조들이 많이 드러났다. 특히 구조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노동의 공급과 수요 양 측면에서 우리 노동시장은 심각한 양적․질적 변동을 겪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임시․계약직의 증가로 인한 고용의 불안정화, 임금체계의 양극화, 근로조건과 기업복지의 후퇴 등 고용의 양과 질에 있어서의 저하가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일 것이다. 이 시점에 연구자들에게 남겨진 과제는 지난 40년간의 산업․직업구조에 있어서의 변화와 경제위기를 전후로 하는 노동시장의 변화를 면밀하게 비교분석하고 그러한 분석 결과를 가지고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해 온 여러 가지 노동시장 관련정책과 대책들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보다 나은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보고서는 원내외의 연구진들이 제 1~3차년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최근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와 변화를 다양한 측면에서 기술하고 특별히 중요한 연구과제인 직업이동과 계층이동에 관한 심층분석 결과를 하나의 단행본으로 내놓게 된 것은 아주 뜻깊은 연구 성과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그간 한국 노동시장에 관한 본격적인 미시자료의 분석이 미흡했던 상황에서 나온 본 연구보고서가 위기와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근로자들의 고용을 안정시키고 삶의 질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노동정책의 수립과 실행을 위한 귀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01년 12월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이 원 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