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정보공개
주요발간자료
연구용역보고서
- 제목
- 실업의 장기화와 정책과제 -1999-
- 담당부서
- 고용정책팀
- 전화번호
- 02)503-9769
- 담당자
- 이선영
- 등록일
- 2002-08-02
目 次
Ⅰ. 序 論 1
Ⅱ. 問題의 提起 3
1. 소득의 불평등화 4
2. 국민적 부담 가중 4
3. 장기실업의 거시경제적인 해악 5
Ⅲ. 外國의 長期失業 6
1. 각국의 장기실업 현황:특성과 원인 6
2. 각국의 장기실업 대책 16
Ⅳ. 韓國의 長期失業 27
1. 한국의 장기실업 실태 27
2. 한국의 장기실업 전망 34
V. 政策課題 44
參考文獻 53
表 目 次
<표 1> 장기실업자 비중 변화추이 7
<표 2> 성별 장기실업률(1997) 9
<표 3> 연령별 장기실업률 비율(1995) 10
<표 4> 구직유형별 장기실업률(1995) 11
<표 5> 장기실업 추이 27
<표 6> 구직기간 분포 및 평균 구직기간 30
<표 7> 세부그룹별 장기실업 현황 32
<표 8> 구직기간별 해자도 추정치 35
<표 9> 월평균 구직기간 40
<표10> 예상 장기실업자수 및 장기실업률 41
그림 目次
[그림 1] 장기실업률 변화추이 8
[그림 2] 장기실업 추이 28
[그림 3] 구직기간 분포 31
[그림 4] 구직기간별 생존율 추정치 37
[그림 5.1] 구직기간 분포:‘방법 1’ 38
[그림 5.2] 구직기간 분포:‘방법 2’ 39
[그림 6] 월평균 구직기간의 변화추이 및 전망 40
* 자료출처 한국노동연구원
Ⅰ. 序 論 1
Ⅱ. 問題의 提起 3
1. 소득의 불평등화 4
2. 국민적 부담 가중 4
3. 장기실업의 거시경제적인 해악 5
Ⅲ. 外國의 長期失業 6
1. 각국의 장기실업 현황:특성과 원인 6
2. 각국의 장기실업 대책 16
Ⅳ. 韓國의 長期失業 27
1. 한국의 장기실업 실태 27
2. 한국의 장기실업 전망 34
V. 政策課題 44
參考文獻 53
表 目 次
<표 1> 장기실업자 비중 변화추이 7
<표 2> 성별 장기실업률(1997) 9
<표 3> 연령별 장기실업률 비율(1995) 10
<표 4> 구직유형별 장기실업률(1995) 11
<표 5> 장기실업 추이 27
<표 6> 구직기간 분포 및 평균 구직기간 30
<표 7> 세부그룹별 장기실업 현황 32
<표 8> 구직기간별 해자도 추정치 35
<표 9> 월평균 구직기간 40
<표10> 예상 장기실업자수 및 장기실업률 41
그림 目次
[그림 1] 장기실업률 변화추이 8
[그림 2] 장기실업 추이 28
[그림 3] 구직기간 분포 31
[그림 4] 구직기간별 생존율 추정치 37
[그림 5.1] 구직기간 분포:‘방법 1’ 38
[그림 5.2] 구직기간 분포:‘방법 2’ 39
[그림 6] 월평균 구직기간의 변화추이 및 전망 40
* 자료출처 한국노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