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쯔쯔가무시증 등 가을철 발열성질환 감염 예방
등록일
2024-11-26 
담당부서
근로개선지도팀 
담당자
윤호찬 
전화번호
054-851-8031 
1. 쯔쯔가무시증 등 가을철 발열성질환의 본격적인 유행시기를 맞아, 산림 및 공원 조성사업, 골프장 등 곤충 및 동물매개 감염병 고위험 작업*에 대한 질병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필요가 있습니다. 
   * 곤충 및 동물매개 감염병 고위험작업(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592조) : 습지 등에서의 실외작업, 야생설치류의 직접 접촉 및 배설물을 통한 간접 접촉이 많은 작업, 가축 사육이나 도살 등의 작업
2. 특히, 산림 및 공원 조성작업, 숲가꾸기, 조경작업 및 제초작업 등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일자리사업 등 단기간 사업 , 농림업, 골프장 코스(잔디, 수목) 관리 작업은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예방조치가 소홀하여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3. 쯔쯔가무시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털진드기 매개 감염증으로, 2023년에만 전국적으로 19명이 쯔쯔가무시증으로 사망했으며, 최근 털진드기 밀도지수가 3배 늘어나면서 감염자가 폭증하고 있어 야외 작업자는 진드기 등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최근 5년간(‘17~’22.8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관련 산업재해 총 187명 중 162명(86.6%)이 가을철(9~11월)에 발병
4. 사업장에서는 야외 작업자에 대한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의 3대 핵심실천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 (작업전)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복장 착용, ?(작업중) 풀밭에 눕지 않기, ?(작업후) 즉시 샤워나 목욕
 - 이외에도 작업자들에게 ?쯔쯔가무시증 등 감염경로, 증상 및 예방 방법 등을 교육, ?물린 상처 또는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감염증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토록 조치를 해야 함.
5. 쯔쯔가무시증 등 감염병은 발병까지 약 1~3주 소요됨에 따라 발병초기에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고, 다른 재해에 비해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 예방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사례가 많은 바, 조금만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므로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여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020년 경북 00시에서 실시한 코로나19 극복 공공로사업 참여자가 000주민센터에 배치되어 관내 환경 정비(쓰레기 수거, 제초작업, 낙엽수거 등) 업무를 수행하다가 2020.11.5.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조퇴 후 병가를 내고 입원 치료 중 2020.11.12. 쯔쯔가무시증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사망 (수풀에서 소변을 보다 진드기에 엉덩이가 물림)
  * 2024.11.12. 경북 안동시 소재 골프장에서 작업자가 골프장 코스(잔디, 수목 등) 관리 중 진드기에 목이 물려(반팔옷 착용, 기피제 미사용) 쯔쯔가무시증으로 인한 패혈증 및 합병증으로 입원(약 30일)

붙임 : 1. 진드기, 설치류에 의한 발열성질환 예방 수칙 1부
        2. 곤충 및 동물매개 감염병 고위험작업시 조치기준(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관련 조항) 1부.  끝.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