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고용노동부의 대상자별 정책입니다.
여성, 경력단절 예방 및 재취업 지원
여성고용 차별개선
-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A)
[ 대상 ] 근로자 500인 이상 사업장 및 전체 공공기관
[ 개요 ] 고용상 성차별 해소 및 고용평등촉진을 위하여 규모별, 산업별 평균 여성 고용률 및 평균 여성 관리자 비율 산정 및 이행 지도
-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지원
[ 대상 ]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
[ 개요 ] 직장 내 성희롱을 예방하고 근로자가 안전한 근로환경에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지원 및 점검
-
남녀고용평등 우수기업 및 유공자 포상
[ 대상 ] 남녀고용평등 및 일·가정양립 지원에 공이 있는 개인 및 기업
[ 개요 ] 차별 없고,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고용환경 구축을 위해 노력한 개인 및 기업을 남녀고용평등 강조기간 동안 선정하여 포상
-
여성고용 차별개선 민간 인프라 구축
[ 대상 ]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
[ 개요 ] 사업장 내 차별 및 성희롱 관행의 자율적인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명예고용평등감독관 위촉’ 및 민간단체의 ‘고용평등상담실 지정·운영
출산·육아 지원
-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원
[ 대상 ] 소득활동을 하지만, 고용보험 미적용으로 출산전후휴가급여를 지원받지 못하는 출산여성
[ 개요 ] 고용보험 모성보호제도(출산전후휴가급여)의 사각지대 해소
-
출산휴가·육아휴직등 급여 지원
[ 대상 ] 출산전후 여성 근로자, 육아 중인 근로자
[ 개요 ] 출산전후휴가·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기간에 급여 지원을 통해 여성근로자의 이직을 방지하고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경제활동 참가율 제고
-
출산육아기 고용안정 지원
[ 대상 ] 출산육아기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주
[ 개요 ] 출산육아기 근로자의 모성보호 및 고용안정을 위해 노무비용을 지원
-
대체인력 채용지원서비스
[ 대상 ] 대체인력 구인수요 사업장 및 구직자
[ 개요 ] 출산‧육아‧시간선택제‧병가‧교육‧산재 등을 사유로 공백이 예상되는 자리에 적합한 인력을 추천해주는 서비스
-
직장어린이집 지원
[ 대상 ] 직장어린이집을 설치ㆍ운영 중인 사업주
[ 개요 ] 직장어린이집 설치비‧인건비‧운영비를 지원하는 등 직장보육시설을 확충함으로써 근로자의 육아 부담을 덜고 경력단절 예방
-
거점형 공공직장어린이집 설치 사업
[ 개요 ] 국가(고용노동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중소기업 노동자 가정의 보육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 밀집 지역 인근 거주지 또는 교통의 요지에 설치‧운영하는 공공직장어린이집
여성고용 촉진
-
경력단절여성취업지원
[ 대상 ] 혼인·임신·출산, 가족돌봄 등의 사유로 경력이 단절되었거나 경력을 가진적이 없는 여성 구직자등
[ 개요 ] 여성새로일하기센터(새일센터)를 통하여 경력단절여성*에게 직업상담, 직업훈련, 인턴연계, 취업알선 및 취업후 사후관리 등 종합적인 취업지원서비스 제공
-
경력단절여성 고용 관련 세제혜택
[ 대상 ] 경력단절여성을 재고용한 중소·중견기업 및 경력단절여성
[ 개요 ] 경력단절여성을 재고용한 기업 및 당사자에 대한 세제 혜택
일·가정 양립 지원
-
워라밸일자리 장려금
[ 대상 ] 자율적으로 소정근로시간 단축제도를 도입하고, 근로자의 필요(가족돌봄, 본인건강, 은퇴준비, 학업 등)에 따라 일정기간 근로시간 단축을 허용한 사업주
[ 개요 ] 전일제 근로자가 필요한 때(가족돌봄, 본인건강, 은퇴준비, 학업 등)에 소정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국민의 다양한 일자리 수요를 충족시키고 일과 삶의 조화에 기여
-
일ㆍ가정 양립 환경개선 지원
[ 대상 ]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거나 확대시행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사업주
[ 개요 ] 기업의 유연근무 도입을 지원하여, 장시간 근로관행 개선 및 일ㆍ가정 양립 고용환경 조성
정책자료
- 사람투자 10대과제
- 2020.06.21
- 고용평등상담실 2019년도 상담운영 우수사례집
- 2020.03.17
- 고용평등상담실 2019년도 상담운영 우수사례집
- 2020.03.17
- 가족돌봄 등 근로시간 단축제도 가이드북
- 2020.01.13
- 2019 모성보호와 일가정 양립 지원 업무편람
- 2019.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