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지원
고용노동부의 분야별 정책입니다.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 지원
고용복지+센터
사업목적
국민들이 한 곳만 방문하면 다양한 고용ㆍ복지 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도록 고용센터를 중심으로 고용 및 복지 서비스 기관이 한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
기관 성격 : 각 기관의 지위, 조직ㆍ인사ㆍ예산 등의 독립성을 유지한 기관 간 협의체 → 공간 등 하드웨어 통합을 바탕으로 서비스ㆍ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 연계ㆍ통합 추진
고용복지+센터의 의미
- 고용과 복지의 연계(+)
- 고용ㆍ복지 등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 고용ㆍ복지 서비스기관 외 타 기관 참여가 가능한 개방성(+)
- 국민 입장에서는 ‘1+1’ 효과
- 부처 간, 중앙과 지방 간 칸막이를 허물고 협업(+)
사업내용
고용센터가 이미 있거나 고용센터를 신설하는 기초자치단체를 단위로 고용센터를 중심으로 고용복지+센터를 운영
고용과 복지가 결합된 기본형과, 문화 등을 아우르는확장형을 병행
고용복지+센터 참여기관 및 체계도


*자립지원 직업상담원은 조건부수급자 등의 일을 통한 탈빈곤 지원을 위한 고용-복지 연계 서비스 담당. 본연의 업무 이외에 자치단체 부수적 업무를 수행하지 않도록 협조
운영방향
통합 서비스
- 한 공간에서 다양한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여 방문자의 편의 도모
원스톱
- 고용복지+센터를 방문하면 필요ㆍ적합한 고용ㆍ복지 서비스에 대한 정보 획득, 서비스 상담ㆍ신청ㆍ수령 가능
고용ㆍ복지 서비스 연계를 통한 자립 지원
- 근로빈곤층의 취업장애요인 등을 조기 해소시킴으로써 최저생계비를 지원받는 빈곤층을 고용의 영역으로 끌어내어 탈수급 지원
- 차상위계층 등은 최저생계비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사전에 고용과 복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자립을 지원
협업
- 참여기관 간 협업 및 역할분담을 통해 인력 및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효율성 제고
- 합동으로 수행 가능한 업무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시너지 제고
서비스 프로세스
프로세스


서비스 연계
- 각 기관의 고유 업무를 수행하면서, 고용서비스 기관 간, 고용서비스 기관과 복지서비스 기관 간 필요한 서비스를 상호 연계하여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