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제목
(설명) 한국경제, “’1년 근무, 26일 연차’ 법원 제동... 바로잡을 ‘勞편향’ 널렸다” 오피니언 관련
등록일
2021-04-30 
조회
7,999 
연차유급휴가 관련 고용노동부의 행정해석은 법과 판례에 근거한 것입니다.

주요 기사내용
4.30.(금) 한국경제, “’1년 근무, 26일 연차’ 법원 제동... 바로잡을 ‘勞편향’ 널렸다” 오피니언 관련
(전략) ~‘1년 계약직에게는 근무 2년차에 주어지는 15일의 연차휴가 수당을 주지 않아도 된다’는 서울북부지방법원 판단이 화제의 판결이다. 이 판결이 주목되는 이유는 낮은 연차 근로자의 ‘휴식권’에서 무리하게 피고용인 편을 들어온 고용노동부 행정지침이 뒤집혔기 때문이다. ~(중략) ~고용부는 근로기준법을 관할하면서 1년 이상 무기계약직 등에 적용한 휴가권을 ‘1년 계약직’에도 똑같이 적용하도록 행정지침을 만들었다. ~ (후략)

설명 내용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고용부는 법률 규정과 그간의 축적된 대법원 판례, 헌법재판소 결정례를 근거로 하고 있으며
근로기준법 적용대상은 ‘1년 이상 무기계약직’이 아니라 ’근로자(법 제2조)‘로서, 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역시 “1년 이상 무기계약직”, “1년 계약직” 등을 달리 규정하고 있지 아니함

그간 고용부는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는 계약직 여부와 무관하게 법 제60조제1항 따라 15일의 연차가 발생한다고 해석해왔으나(법 제60조제2항에 따라 1년차에 월 1일씩 발생하는 11일의 연차는 별도) 지난 4.6. 서울북부지법(합의부)은 ”1년 계약직“의 경우 근로기준법 제60조제1항에 따른 15일의 연차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함(즉 1년을 넘어 최소한 1일 이상 더 근로를 해야 한다는 입장)

고용부 행정해석의 근거는 아래와 같음
① 법 규정: 법 제60조제1항에는 ’1년간 80% 이상 출근하면‘ 15일의 연차휴가를 주도록 되어 있고, 이후 추가적인 재직 요건이 없음
※ 근로기준법 제60조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판례: 대법원은 ’연차는 1년간의 소정근로를 마치면 확정적으로 취득‘하며(2003다48549 등 다수), ’연차 미사용수당을 1년간의 근로의 대가인 임금‘으로 보아(2011다4629) 1년이 지나면 지급하도록 판시
과거 고용부는 “1년 근로” 이외에 다음 해 추가 근로가 있어야 연차(또는 미사용 수당)가 발생한다고 해석했으나*, 위의 ‘05년 대법원 판례에 따라, ’06년에 현재와 같이 행정해석을 변경한 것임
* 과거 해석: 휴가사용이 가능했던 일수에 따라 미사용수당을 지급해야 한다고 보고, 1년을 근무한 후, 바로 퇴직하면 연차 미사용수당 불인정, 1일 더 근로 후 퇴직하면 1일 인정, 2일 더 근로하면 2일 인정.......15일 더 근로하면 15일 인정 등(근기68201-695, 2000.3.10.)
③ 헌법재판소 결정: ’연차휴가 성립에 당해 연도 출근율을 요건으로 추가한다면 과거 근로에 대한 보상이라는 연차휴가 제도의 취지에 반한다‘고 하여(헌재 2017헌바433), 1년 이후 추가적인 재직을 요건으로 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로 결정

또한 종전에는 1~2년차 합쳐 최대 15일의 연차를 부여했으나(예컨대, 1년차에 최대 11일 사용 시 2년차에는 4일)
1~2년차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 ’17.11월 법이 개정되어*, 1년차에 11일, 2년차에 15일을 각각 부여하게 되었으므로, 1년 근무 후 퇴직 시 1년차 연차(11일)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면 2년차 연차(15일)와 합산하여 26일분의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것은 현행법상 달리 해석하기 어려움
* 법 개정이유: 근속 2년 미만 근로자의 휴가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최초 1년간의 근로에 대한 유급휴가를 다음 해 유급휴가에서 빼는 규정을 삭제하여 1년차에 최대 11일, 2년차에 15일의 유급휴가를 각각 받을 수 있도록 함(제60조제3항 삭제)

다만 이 경우 발생하는 사용자의 연차 미사용수당 부담을 경감하고, 근로자의 휴식권을 강화하기 위해, ‘20.3월 법을 개정하여 1년 미만자의 경우 ①근로자는 연차를 입사 1년 내 모두 사용토록 하고(발생일로부터 1년이 아님) ②사용자는 연차사용 촉진 시 연차보상 의무가 면제되도록 한 바 있음


문  의:  임금근로시간과  김보훈 (044-202-7917)
첨부
  • hwp 첨부파일 4.30 1년 근무 26일 연차 법원 제동...바로잡을 勞편향 널렸다(한국경제 설명 임금근로시간과).hwp 다운로드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