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고용노동부
국민 누구나 원하는 일자리에서 마음껏 역량을 발휘하는 나라!

뉴스·소식
보도·설명
- 제목
- 주요 건설공사‘안전 활동 포럼’실시
- 담당부서
- 고용관리과
- 전화번호
- 043-299-1112
- 담당자
- 정지원
- 등록일
- 2024-08-30
고용노동부 청주지청, 주요 건설공사‘안전 활동 포럼’실시
- 다양한 위험요인 발굴 및 우수사례 공유로 안전 문화 정착 -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청주지청(지청장 김경태)은 2024. 8. 29.(목) 14:00 ‘진천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조성사업 현장에서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 주요 건설공사 현장소장*을 대상으로 ‘안전 활동 포럼’을 개최하였다.
* (참석대상) 청주시 및 진천군 소재 건설 현장으로 총 13개소(건축7, 토목6)
8월 ‘안전 활동 포럼’은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 건설공사 중 청주시와 진천군에 현장을 두고 있는 공동주택 신축공사와 토목공사 현장소장 13명과 청주지청장이 참석하여 진행되었고, 지난 7월과 8월에 실시한 교차점검 시 지적된 추락위험 장소 및 건설기계 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안전조치 등에 개선사례를 공유하고, 폭염에 대비한 건설근로자 보건조치로 ‘무더위 이동형 휴게시설(쉼터카) 운행’, ‘덤프 등 건설장비 유도원에 대한 부착형 그늘막 설치’ 및 건설현장 화재시 ‘비상대피 안내 무정전 전원장치’ 설치 등 우수사례를 공유하며, 각 현장의 적용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김경태 지청장은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현장 안전관리가 매우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우리 지역의 산업재해 감축을 위하여 ‘안전 활동 포럼’에 적극 참여하며, 다같이 노력하여 온 것에 감사드린다”고 격려하면서, “처서가 지났음에도 폭염이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도 ①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3대 안전수칙(물, 그늘, 휴식) 준수, ②폭염 및 태풍 대비 자율점검, ③중대재해사이렌의 기상상황과 사고대응 요령 공유, ④비상업무 담당자 지정 및 연락망 구축, ⑤재해 발생 우려시 사업주 및 근로자의 작업중지 적극 시행 등으로, 무엇보다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면서 현장관리에 임하여 주기를 당부”하였다.
문 의: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청주지청 산재예방지도과 이강일(043-299-1324)
- 다양한 위험요인 발굴 및 우수사례 공유로 안전 문화 정착 -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청주지청(지청장 김경태)은 2024. 8. 29.(목) 14:00 ‘진천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조성사업 현장에서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 주요 건설공사 현장소장*을 대상으로 ‘안전 활동 포럼’을 개최하였다.
* (참석대상) 청주시 및 진천군 소재 건설 현장으로 총 13개소(건축7, 토목6)
8월 ‘안전 활동 포럼’은 공사금액 800억원 이상 건설공사 중 청주시와 진천군에 현장을 두고 있는 공동주택 신축공사와 토목공사 현장소장 13명과 청주지청장이 참석하여 진행되었고, 지난 7월과 8월에 실시한 교차점검 시 지적된 추락위험 장소 및 건설기계 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안전조치 등에 개선사례를 공유하고, 폭염에 대비한 건설근로자 보건조치로 ‘무더위 이동형 휴게시설(쉼터카) 운행’, ‘덤프 등 건설장비 유도원에 대한 부착형 그늘막 설치’ 및 건설현장 화재시 ‘비상대피 안내 무정전 전원장치’ 설치 등 우수사례를 공유하며, 각 현장의 적용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김경태 지청장은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현장 안전관리가 매우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우리 지역의 산업재해 감축을 위하여 ‘안전 활동 포럼’에 적극 참여하며, 다같이 노력하여 온 것에 감사드린다”고 격려하면서, “처서가 지났음에도 폭염이 지속되고 있어 앞으로도 ①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3대 안전수칙(물, 그늘, 휴식) 준수, ②폭염 및 태풍 대비 자율점검, ③중대재해사이렌의 기상상황과 사고대응 요령 공유, ④비상업무 담당자 지정 및 연락망 구축, ⑤재해 발생 우려시 사업주 및 근로자의 작업중지 적극 시행 등으로, 무엇보다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면서 현장관리에 임하여 주기를 당부”하였다.
문 의: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청주지청 산재예방지도과 이강일(043-299-1324)